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어깨 통증의 원인, 어깨 통증의 주요 증상과 치료법, 어깨 통증 완화를 위한 운동법

by 꿀송이엄마 2025. 3. 11.
반응형

어깨통증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흔한 증상입니다. 어깨는 신체 중 가장 넓은 가동 범위를 가진 관절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어깨통증의 주요 원인, 증상, 치료방법, 그리고 운동법을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1. 어깨통증의 원인

원인설명
회전근개 질환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과 힘줄(회전근개)이 손상되거나 염증이 생긴 상태입니다. 중년 이후 많이 발생하며, 반복적인 동작이 원인이 됩니다.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어깨 관절막이 두꺼워지고 유착이 생겨 어깨가 굳고 심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주로 50대에 흔하게 나타납니다.
석회성 건염 어깨 힘줄에 칼슘이 침착되어 염증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로 야간에 통증이 심합니다.
어깨충돌증후군 어깨뼈(견봉) 아래로 힘줄이 끼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심합니다.
외상/탈구/골절 넘어짐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어깨 관절 손상으로 급성 통증과 기능 장애가 생깁니다.

 

2. 어깨통증의 주요 증상

증상설명
어깨 움직임 제한 팔을 들거나 뒤로 젖히기 힘들고, 특정 각도에서 통증이 심해집니다.
야간통 잠자는 동안 특히 심한 통증으로 수면에 방해가 됩니다.
찌릿하거나 쑤시는 통증 지속적인 통증 외에도 팔까지 저리거나 쑤시는 느낌이 동반됩니다.
약화된 근력 팔이나 어깨에 힘이 잘 들어가지 않고 물건을 드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치료 방법

비수술적 치료

  1. 약물치료
    • 소염진통제(NSAIDs): 염증과 통증 완화
    • 근이완제: 근육 긴장 완화
  2. 물리치료
    • 온열치료(핫팩), 냉찜질(급성기), 초음파 치료 등으로 혈액순환과 염증 완화
  3. 주사요법
    • 스테로이드 주사: 염증을 빠르게 줄여주는 효과
    • PRP 주사(자가혈): 손상된 조직의 재생 촉진
  4. 체외충격파 치료(ESWT)
    • 석회성 건염 등에 사용되어 석회를 파괴하고 조직 치유를 돕습니다.

수술적 치료

  • 관절내시경 수술: 회전근개 파열, 유착성 관절낭염 등에서 손상 조직 제거 및 봉합
  • 석회 제거술: 석회성 건염에서 칼슘 침착물 제거

4. 어깨통증 완화를 위한 운동법

어깨 운동은 통증 완화와 관절 가동성 회복에 중요합니다. 단, 통증이 심할 경우 전문의 상담 후 시행해야 합니다.

기본 원칙

  • 무리한 동작 금지
  •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천천히 진행
  • 매일 규칙적으로 시행

어깨 스트레칭 및 강화운동

운동 이름방법 설명
펜듈럼 운동 허리를 숙이고 아픈 쪽 팔을 늘어뜨립니다. 팔을 원을 그리듯이 부드럽게 흔듭니다. 하루 2~3회, 각 방향으로 10회 반복.
수건 스트레칭 양손으로 수건을 잡고, 한 손은 위로, 한 손은 뒤로 하여 어깨 뒤쪽에서 수건을 잡습니다. 위아래로 당기며 어깨 관절을 늘려줍니다. 10초 유지 후 반복.
벽 타기 운동 벽에 손끝을 대고 손가락으로 천천히 벽을 타고 올라가듯이 팔을 올립니다. 어깨 높이 이상은 무리하지 않습니다. 하루 2회 10회 반복.
고무밴드 저항운동 가벼운 저항 밴드를 이용해 팔을 바깥쪽으로 벌리거나 안으로 모으는 운동을 합니다. 회전근개 강화에 효과적입니다. 하루 2회, 각 방향으로 10~15회 반복.

 

어깨 운동 예시 도표

운동회수목적
펜듈럼 운동 10회 x 3세트 통증 완화 및 가동성 증가
벽 타기 운동 10회 x 2세트 어깨 관절 가동성 회복
수건 스트레칭 10초 유지 x 5회 어깨 유연성 향상
저항 밴드 운동 15회 x 2세트 회전근개 근력 강화

 

5. 생활 속 관리법

  • 무거운 물건 들기 피하기
  • 어깨에 무리가 가는 자세(컴퓨터 사용 시 어깨를 긴장시키는 자세 등) 개선
  • 온찜질, 스트레칭으로 근육 이완
  • 수면 시 어깨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자세 교정(옆으로 누울 경우 베개를 끼워 팔이 눌리지 않게 함)

어깨통증은 초기에 적절한 관리와 운동을 통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통증이나 기능 제한이 있다면 전문의 진료가 필수입니다.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이 예방에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