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Korea Public Procurement Expo 2025)는 대한민국 조달청이 주최하고 경기도와 고양특례시가 공동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조달 종합박람회입니다. 이번 엑스포는 2025년 3월 5일(수)부터 3월 7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에 위치한 킨텍스 제1전시장 Hall 1~3에서 개최됩니다.
행사 목적 및 슬로건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는 우수 중소기업의 판로 지원과 혁신·벤처기업의 성장 촉진, 그리고 해외 바이어 초청을 통한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025년 엑스포의 슬로건은 "세계로 가는 K-조달, 혁신을 조달하다! 미래를 개척하다!"로, 대한민국 공공조달의 글로벌화와 혁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 및 구성
엑스포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부대행사로 구성되어 참가 기업과 참관객 모두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시회: 기계장치, 건설환경, 사무기기, 안전제품, 디지털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조달 중소기업이 참여하여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입니다.
- 공공구매 상담회: 대규모 수요기관과의 동반성장을 위한 공공구매 상담회가 진행되어, 참가 기업들은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과 직접 상담할 수 있는 기회를 갖습니다.
- 해외바이어 상담회 및 해외시장 진출 설명회: 해외 바이어와의 1:1 비즈니스 상담회 및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설명회가 마련되어,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합니다.
- 구매 실무 교육 프로그램: MAS제도, 나라장터 이용 안내 등 다양한 구매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조달업무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킵니다.
- 특별관 및 부대행사: 탄소중립관, AI·로봇관, CES관, 국방관 등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특별관이 신설 및 확대 운영되며, 공공조달 제도 설명회, 간담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진행됩니다.
참가 기업 지원 및 혜택
엑스포에 참가하는 기업들은 다양한 지원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스 지원: 품질보증조달물품으로 지정된 기업, 혁신제품 인증업체, 벤처나라에 지정된 기업 등은 전시 부스 임차료 및 설치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홍보 지원: 참가 기업들의 소개 및 홍보를 위한 온라인 책자(PDF)가 제작되어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제품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습니다.
- 비즈니스 매칭: 참가 기업들은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 및 해외 바이어와의 1:1 비즈니스 상담회를 통해 신규 시장 확보와 판로 개척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관객 정보
엑스포는 공공조달에 관심 있는 누구나 무료로 참관할 수 있습니다. 사전등록을 통해 행사 당일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일부 프로그램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됩니다. 사전등록은 엑스포 공식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단체 참관의 경우 별도의 단체 등록 신청을 진행해야 할 수 있습니다.
교통 및 편의시설
행사 기간 동안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킨텍스 제1전시장을 왕복하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됩니다. 셔틀버스 운행 시간표와 탑승 위치는 엑스포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킨텍스는 대형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어 자가용 이용자들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엑스포와 관련된 추가 문의 사항은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사무국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 전화: 031-995-8283
- 이메일: koppex@koppex.combizinfo.go.kr+12koppex.micehub.com+12kintex.com+12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는 공공조달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함께 지원해주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부터 시중은행 예금액 1억원까지 보호된다고 합니다. 아직은 구체적 정책이 시행되지 않고 있지만 시행될 때가 기대됩니다. (1) | 2025.03.06 |
---|---|
단기 적금 유행: 연 10%대 고금리 적금 상품 사례 (0) | 2025.03.06 |
주4일 근무제 도입의 현실과 장점과 단점 (0) | 2025.03.06 |
해외 취업의 현실: 낮은 연봉에 유턴하는 한국 청년들 (1) | 2025.03.06 |
MH세대의 특징, 인생관, 결혼관, 경제관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