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억 원을 시중은행에 12개월 만기 정기예금으로 예치할 경우, 각 은행별로 예상되는 이자 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표는 2025년 3월 3일 기준으로, 각 은행의 최고 우대금리를 적용한 결과입니다.
순위은행명상품명최고 금리세후 이자
1 | iM뱅크 | iM주거래우대예금(첫만남고객형) | 3.31% | 2,800,260원 |
2 | 전북은행 | JB 주거래 예금 | 3.25% | 2,749,500원 |
3 | NH농협은행 | NH고향사랑기부예금 | 3.25% | 2,749,500원 |
4 | 광주은행 | KIA타이거즈 우승기원 예금 | 3.15% | 2,664,900원 |
5 | IBK기업은행 | 처음 만나는 IBK중금채(단기중금채) | 3.15% | 2,703,710원 |
6 | 경남은행 | BNK주거래우대정기예금 | 3.15% | 2,664,900원 |
7 | 부산은행 | 더(The)레벨업 정기예금 | 3.10% | 2,622,600원 |
8 | 제주은행 | J 정기예금 | 3.00% | 2,538,000원 |
9 | 우리은행 | WON플러스 예금 | 3.00% | 2,538,000원 |
참고사항:
- 세후 이자 계산: 이자 소득세 15.4%를 공제한 후의 금액입니다.
- 우대금리 조건: 표에 기재된 최고 금리는 각 은행의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했을 때 적용됩니다. 우대금리 조건은 은행별로 다르며, 예를 들어 급여이체, 카드 사용 실적, 신규 고객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금리 변동 가능성: 금리는 시장 상황과 은행의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실제 가입 시점에 각 은행의 최신 금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예금자 보호 한도: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1인당 최대 5,000만 원까지 보호되므로, 1억 원을 예치할 경우 두 개의 은행으로 분산하여 예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
2025년 3월 3일 기준으로, iM뱅크의 'iM주거래우대예금(첫만남고객형)'이 최고 금리 3.31%로 가장 높은 이자 수익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각 은행의 우대금리 조건과 예금자 보호 한도를 고려하여 예치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기 관련된 금융 인포그래픽을 생성했습니다! 금리 비교와 예상 수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디자인된 이미지입니다. 😊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원을 시중은행에 정기 예금할 경우의 세전 세후 이자: 아직은 예금자 보호한도가 5천만원까지이며 1억원으로 상향 조정될 예정 (0) | 2025.03.10 |
---|---|
국세청 환급금 신청 대상, 신청 과정, 신청 기간 안내 (0) | 2025.03.06 |
생수 속 미세 플라스틱 문제와 해결 방안 (1) | 2025.03.06 |
2025년부터 시중은행 예금액 1억원까지 보호된다고 합니다. 아직은 구체적 정책이 시행되지 않고 있지만 시행될 때가 기대됩니다. (1) | 2025.03.06 |
단기 적금 유행: 연 10%대 고금리 적금 상품 사례 (0) | 2025.03.06 |